[전영범의 별 헤는 밤] 추석 보름달의 추억

입력 2021-09-22 16:40   수정 2021-09-23 00:06

추석 아침부터 종일 비가 오다가 저녁 무렵에 갰지만 구름이 미처 다 빠져나가지 않아 월출 시각이 한참을 지나도록 구름 위로 높게 뜬 목성만 밝게 빛났다. 그래도 늦게 뜬 보름달이 밤새 훤하게 비췄다.

초등학교도 들어가기 전, 추석 보름달과 관련된 아주 오래된 기억이 하나 있다. 추석날 저녁에 고향 집 마당에서 할머니가 여러 음식을 한상 차려두고, 뜨는 달을 보며 절을 했다. 그런데 50년이 훨씬 지난 지금도 할머니의 옆모습과 밝은 보름달이 뜨는 상황이 이상하게 생생하다. 천문학을 배우고 그 기억을 돌이켜보면서 고향 집 마당에서 본 보름달이 어디로, 어떤 모습으로 떴을까 의아했다. 고향 마을 동쪽엔 1000m가 넘는 여러 산이 가로막고 있기 때문이다. 월출이라면 보통은 보는 사람의 눈높이에서 떠올라 대기 영향으로 붉게 보이고, 해가 지고 약간 어두울 때 뜨는 붉은 보름달은 신비로운 분위기를 만든다. 하지만 1000m 넘는 높은 산 위로 뜨는 달도 월출이라고 할 수 있을까?

지도를 펼쳐서 거리를 측정해 보니 고향 집에서 높은 산까지 직선거리가 6.5㎞가량 됐다. 산의 높이가 1㎞가량이니 산 위로 달이 뜨면 고도가 대략 14도 정도 되는 셈이다. 고향 집도 고도가 조금 있고, 더 낮은 능선 사이로 떠올랐으면 14도보다는 다소 낮을 것이다. 아무 생각 없이 본 보름달이었지만 높이 1000m가 넘는 산 위로 해가 지고 나서 40분에서 1시간은 기다려서 보았을 것이다. 이런 계산을 하니 어릴 적 기억의 감흥이 많이 줄어든다. 어릴 적 기억이 엉터리는 아니지만, 그냥 기억은 기억으로 남겨두는 게 더 좋을 것 같다.

지구 반대편, 칠레의 천문대에서 본 안데스산맥 위로 뜨는 보름달 모습은 고향의 보름달과 많이 닮았다. 2200m 고도의 천문대에서 5000m가 넘는 산맥 위로 뜨는 달은 월출 시각을 넘겨야 볼 수 있어서 다소 어두워진 주변 풍경과 어우러져 마치 데굴데굴 굴러갈 것 같이 신비롭게 느껴졌다.

보름달 보며 소원을 빌던 할머니
작년 추석엔 오랜만에 어머니와 천문대에 올랐다. 당직이라 모시고 다녀왔는데, 어머니가 추석 보름달을 보며 절을 하는 옆모습이 50년도 넘은 기억 속의 할머니와 무척 닮아 있었다. 안 들어도 무슨 소망인지는 뻔하였다. 항상 자식들 건강, 손주들 건강 챙기기 바쁘시니, 그때의 할머니도 그러했을 것이다. 천문학을 하면서 의도적으로 달을 보며 기원하는 따위(?)의 일은 피했지만, 이런 일상도 천문학의 일부분일 수 있을 것이다. 천문 현상의 경외감으로 우주의 근원적 의문이 있기에 우리는 천문학을 한다.
'우주 속의 나'…겸손을 배운다
천문학은 참 재미있는 학문이다. 더욱 먼 우주를 보기 위해 구경 10m 망원경을 뛰어넘는 25m, 30m, 40m 망원경을 만들고 있고, 지상에서 보지 못하는 빛을 보기 위해 각종 우주망원경을 올리고, 전 세계에 흩어진 전파망원경을 모두 모아서 하나의 망원경처럼 사용하는 등 최첨단의 과학과 기술을 이용하고, 또 필요로 한다. 그런 한편으로는 달과 별을 보면서 소원도 빌고, 시도 쓰고, 노래도 만드는 등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당연한 듯 사용하는 달력과 시간도 천문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 우리가 보고 느끼는 색과 온도도 천문학에 기반을 뒀다. 그래서 천체의 색을 보면 온도를 알 수 있다. 돌이켜보면 우리가 사는 땅에 그다지 많은 궁금증을 갖지 않았을 오래전에도 하늘에 반짝이는 별이 무엇인지 궁금했을 것이다. 그러다 지구가 둥글다는 생각을 한 과학자가 있었고, 많은 별 중에서 위치가 변하는 행성을 찾아냈다. 모든 사람이 이들 행성과 태양이 지구를 중심으로 돌고 있다고 생각할 때, 거꾸로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는 것을 알아냈고, 이젠 그 태양조차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 우리 은하계의 가장자리에 놓였다는 것을 알게 됐다. 우리가 아는 은하수가 은하계이며, 그 속에는 수천억 개의 별이 있고, 이런 은하가 수천억 개 모여서 우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우주의 나이도 138억 년 정도임을 아주 정밀하게 알아냈다.

이제 우리는 지구라는 행성이 우주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잘 안다. 수천억 개의 많은 은하계 중 하나인 우리 은하계의 한쪽 귀퉁이에 있는 수천억 개의 별 중 하나인 태양이 있고, 태양에 속한 여러 행성 중 하나다. 그런데 우리는 각자가 그런 지구에 사는 70억의 인류 중 한 명이다. 보름달이 뜬 밤은 밤새 하늘이 밝아서 다른 별을 보기는 몹시 어렵다. 그러니 추석엔 그냥 보름달이나 보며 인간이라는 존재와 자신을 돌이켜보는 게 어떨까 싶다. 이런 생각을 하다 보면 한없이 겸손해진다.

전영범 <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